티스토리 뷰
여름 장마철에 운전하실 때 자동차 타이어 수막현상으로 인해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수막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그에 따른 예방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 타이어 수막현상이란?
자동차 타이어 수막현상이란 도로가 물에 젖었을 때 고속으로 운전하게 되면 물에 젖은 도로와 타이어가 제대로 접촉되지 않고 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거나 핸들을 급하게 조작하면 마찰력이 낮아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차량이 미끄러지게 됩니다.
자동차 타이어 수막현상 원인
- 타이어 마모와 공기압 부족
타이어가 마모되면 타이어 원래 있던 타이어 트레드(홈)가 같이 손상되어 타이어와 젖은 노면 사이의 물을 효과적으로 배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막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공기압이 부족하게 되면 타이어가 노면에 눌리게 되어 접지 면적이 넓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타이어 트레드가 없어지는 것처럼 됩니다. 그래서 마찬가지로 수막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 과속 운전
비 오는 날 과속 운전을 하게 되면 수막현상의 원인이 됩니다. 속도를 올리게 되면 차량을 제어하기 더욱 어려워지고 제동거리가 길어져 위험하게 됩니다.
자동차 타이어 수막현상 예방법
- 타이어 마모 한계선 및 공기압 확인하기
타이어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서 타이어 트레드가 얼마나 마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타이어 트레드의 깊이가 3mm 이하 라면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타이어 공기압도 확인하여 공기압이 부족하다면 적정 공기압까지 채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 빗길에서는 감속 운전 및 급제동 급하게 조작하지 않기
빗길에서는 차량 제어가 쉽지 않기 때문에 감속 운전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량 제동거리도 맑은 날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난다고 하니, 안전을 위해서 평소보다 20% 이상 속도를 줄여서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급제동을 하거나 차량 핸들을 갑자기 세게 돌리게 되면 차량이 미끄러질 수 있으니 천천히 조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글을 마치며
자동차 타이어 수막현상의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을 참고하셔서 자동차 타이어 수막현상을 예방하여 여름 장마철 안전한 운전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