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동차 환급금은 많은 분들이 모르실 텐데요. 자동차 매입 후 등록할 때, 반드시 매입해야 하는 채권이 있는데 이 채권을 매입 후 5~7년이 지나면 환급받을 수 있는 환급금이 자동차 환급금입니다. 오늘은 어떻게 하면 환급금이 있는지 조회하는 방법과 환급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환급금이란?
자동차 환급금의 정식 명칭은 지역 개발 채권입니다. 지역 개발 채권은 자동차를 구입 후에 지자체에 등록할 때나 각종 인허가를 받을 때 등등 지자체에서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발행된 채권 금액은 지자체마다 다르고 자동차 배기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매입 금액의 4 ~ 12%입니다. 채권은 5년 뒤에 이자를 포함해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로, 2000만 원을 주고 차량을 구입하였고 채권 매입비중이 12%라면 채권 매입금액은 240만 원입니다. 만약 5년 뒤에 찾게 된다면(금리 4% 적용) 대략 280만 원을 돌려받게 됩니다.
채권 만기상환일로부터 5년이 지나면 이자가 손실되고 10년이 지나면 원금이 소실되니 채권이 사라지기 전에 얼른 신청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중고차와 신차 모두 해당되니 얼른 조회해 보세요.
자동차 환급금 조회 방법
자동차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으로는 금융기관에서 조회를 해보면 되는데 지역별로 해당되는 은행이 다르니 아래 그림을 참고하셔서 조회하시면 되겠습니다.
주의할 점은 현재 거주지역 은행이 아닌 자동차 구입시점의 거주지에 해당하는 은행에서 조회하셔야 됩니다.
자동차 환급금 신청방법
자동차 환급금 신청방법은 가장 많은 지역에 해당하는 농협은행을 예시로 들겠습니다.
![]() |
![]() |
![]() |
먼저 농협은행 사이트에 접속한 후 탭에서 [공과금]을 선택 후[미상환채권조회]를 선택하시고 로그인하시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환급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동차를 구입할 땐 돈이 지출돼서 기억하고 있다가 5년이 지나게 되면 까먹게 되어 많은 분들이 환급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이 글을 통해 많은 분들이 찾지 못한 환급금을 찾아서 소소한 이득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선택 방법과 구매 고려 사항(전기차 구매 전 필수 글) (0) | 2023.06.30 |
---|---|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 무료 신청 방법 (0) | 2023.06.28 |
7월부터 바뀌는 불법 주정차 단속 지역 및 주민신고제 알아보기 (0) | 2023.06.28 |
자동차 리스의 뜻과 장단점 알아보기 (0) | 2023.06.24 |
장기렌터카의 장단점 및 가격 비교 사이트 추천 (0) | 2023.06.23 |